본문 바로가기
정선에 살어리랏다

[아라리사람들]정선 공영버스, 와와버스의 또 다른 의미(2020.12)

by 즐거움이 힘 2020. 12. 2.
반응형

정선군청 기관지 "아라리 사람들"에 명예 기자를 맡으면서 "아리리 사람들"에 기고한 글들 입니다. 

아라리 사람들의 다른 호나 다른 글을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됩니다.

 

정선군청 소식지 아라리사람들 

 

20206월부터 정선의 버스는 와와버스라는 이름으로 완전 공영화가 이루어졌다. 각 지자체마다 시민들의 주요 편의 시설인 버스 공영화 문제는 중요한 정치적 쟁점이자 과제다. 버스 공영화는 민간 버스회사에 주는 지원금 규모 문제뿐만 아니라 운영할 수 있는 전문가, 노선 배정 등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야만 추진할 수 있는 어려운 정책 과제이다. 그러한 버스 공영화를 정선군이 강원도에서는 처음으로 시행했다. 참으로 반갑고 칭찬할만한 일이다. 오늘 이 시간도 정선 공영버스인 와와버스는 정선군민의 발이 되어 정선 구석구석을 누비고 다닌다. 와와버스의 요금 체계는 65세이상 어르신과 초··고학생,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은 무료이고, 일반인과 관광객의 정선관내 이용 요금은 1,000원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요금체계는 노약자와 학생들뿐만 아니라 정선군민 모두에게 경제적인 이득을 가져다준다. 일부 군민들은 버스 공영화 이후 버스 시간의 변동으로 인한 불편함을 하소연하기도 한다. 하지만 변화는 어쩔 수 없이 일부의 불편함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는 변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겪어야 할 숙제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분명 해결책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 나는 생각한다. 우리는 와와버스를 이용하면서 버스 요금의 인하 문제나 버스 시간과 횟수 등 편의적인 문제에 주로 관심을 갖는다. 하지만 본인은 공영제 전환으로 인한 또 다른 변화를 보고 있다.

그것은 와와버스를 이용하는 노년층들의 카드 이용 현상이다. 정선 버스가 공영화되기 전 대다수의 노인들은 현금을 이용하여 버스를 이용하였다. 상대적으로 젊은 사람들이나 청소년들은 요금 할인이나 편리성 때문에 카드를 이용하였지만 노년층들은 카드를 소유하지도, 카드를 사용해보지도 않았기에 현금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아마도 그들은 카드를 만들어 사용해야 하는 이유도 몰랐고, 그 누구도 그들에게 카드를 발급하라고 권유하지 않았을 것이다. 어쩌면 그들 스스로 카드에 대한 신뢰가 없어 카드 발급을 거부했을지도 모른다. 우리 사회는 현금 사용보다 카드 사용을 선호하는 시대로 넘어간 지 오래다. 그리고 이제는 카드도 필요 없는 시대로 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정선의 많은 노인층들은 카드를 사용하기보다는 현금 사용을 선호한다. 카드 사용은 디지털 사회의 기초 활동이다. 카드조차 사용하지 못하는 노년층이 새로운 결제시스템, 자동화기기 사용 등으로 넘어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버스 공영화로 인한 노년층에 대한 버스카드 발급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버스 탑승자의 신원 확인을 위한 가장 적절한 수단으로 카드를 발급한 것일 수도 있고, 버스 이용객 현황 파악을 위해 카드 발급을 추진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카드 발급이 노인층에게 카드 사용 습관을 길러주고, 새로운 디지털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는 매우 바람직한 정책이라 볼 수 있다. 지난 9월 정선군에 밝힌 와와버스 이용객 현황을 보면 9월 한 달간 총 5395명의 이용객 중 4347명이 카드로 와와버스를 이용했다고 한다. , 전체 이용객의 80% 정도가 카드를 이용한 것이다. 본인이 찾을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인 교통연구원 2005년 자료를 보면 서울은 2005년 당시 현금 대비 카드 이용자의 비율이 89.7%이었고, 강원지역은 15%에 불과했다. 아직도 정선의 카드 사용자는 2006년의 서울의 카드 이용 탑승자 비율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와와버스로 인한 카드 사용자 확대는 충분히 의미 있는 수치이다. 이제 노년층의 카드 생활을 이용한 다양한 디지털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반을 확보한 셈이다. 디지털 시대의 적응은 기초부터 시작해서 반복된 사용만이 유일한 길이다. 이제 와와버스의 버스카드를 활용한 다양한 정책이 정선군에서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